음악의 산책/Nashville

[라틴] La Cucaracha(라 쿠카라차) - Helmut Lotti

jubila 2022. 1. 13. 12:25

La Cucaracha(라 쿠카라차) - Helmut Lotti

 








La Cucaracha
(라 쿠카라차)

Helmut Lotti

La cucaracha, la cucaracha,
Ya no puede caminar;
Porque no tiene, porque le falta
Marijuana que fumar.

La cucaracha, la cucaracha,
Ya no puede caminar;
Porque no tiene, porque le falta
Marijuana que fumar.

Ya murio la cucaracha,
Ya la llevan a enterrar,
Entre cuatro zopilotes
Y un raton de sacristan.

Ya murio la cucaracha,
Ya la llevan a enterrar,
Entre cuatro zopilotes
Y un raton de sacristan.

La cucaracha, la cucaracha,
Ya no puede caminar;
Porque no tiene, porque le falta
Marijuana que fumar.

La cucaracha, la cucaracha,
Ya no puede caminar;
Porque no tiene, porque le falta
Marijuana que fumar.

Una cosa me da risa:
Pancho Villa sin camisa;
Ya se van los carrancistas
Porque vienen los villistas.

Una cosa me da risa:
Pancho Villa sin camisa;
Ya se van los carrancistas
Porque vienen los villistas.








 

 







 







"La Cucaracha"는 본래 스페인의 전통민요이나 1910년 100만명의 피를 흘리게한 멕시코의 혁명에서 혁명가요로 개사하여 사용된 노래가 라쿠카라차이다.
우리가 배우기로 '병정들이 행진한다∼’로 시작되는 노래 ‘라 쿠카라차’는 80년대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정식 등록된 노래이자 가요 테이프 맨 뒤에 ‘건전가요’자격으로 들어갔던 노래다.
이 노래는 밀바나 루이암스트롱 등 전세계 수많은 나라에서 리메이크 되어왔지만 노래에 담긴 사연은 정작 잘 알려지지 않고있다.
당시 멕시코의 토지는 90%가 극소수의 지주에게 집중되어 있었고 굶주린 농민들이 독재정부에 반기를 들고 일어서게된다. 이때 농민들이 피흘리며 부른 노래이다. 멕시코 농민들 보잘것 없지만 끈질긴 생명력을 가진 바퀴벌레(cucaracha)에 스스로를 비유했다. 결국 이노래는 희망의 메세지를 담고 있는 것이다.
당시 멕시코의 농민을 이끈 건 Pancho Villa 였다. Pancho Villa는 나중에 혁명의 동지로 같이 혁명군을 지휘하다가 부자들의 편으로 돌아서서 권력을 잡았던 Carranza에게 암살 당한다. 혁명가로 사용되었던 라쿠카라차의 가사에 보면 여기 저기에 농민들의 마음이 잘 나타나 있다.

La Cucaracha
Una cosa me da risa, Pancho Villa sin camisa.
Ya se van las carrancistas porque vienen los villistas.
La cucaracha, la cucaracha, ya no puedo caminar
porque no tiene, porque le falta, marihuana que fumer

 
이를 번역하면
 
바퀴벌레
윗통을 벗은 빤초 비야가 정말 날 웃겨줘
빤초비야군이 다가오니 까란사 군은 도망간다.
바퀴벌레는 바퀴벌레는 이제 더 이상 걸을 수 없네
왜냐면 피울 마리화나가 없기 때문에.


우리가 아무뜻없이 불렀고 막상 가사를 보면 이해하기 힘든 이 노래는 실은 혁명군을 밟아도 잘 죽지 않는 바퀴벌레의 강인한 생명력에 빗댄 것이며, 힘든 투쟁 속에서 식량도 없이 마리화나에 의존하여 견뎌 내야만 했던 혁명군들의 슬픈 현실을 노래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