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산책/Baroque

[피아노] 슈베르트 - 피아노 소나타 제15번

jubila 2022. 4. 27. 11:58

슈베르트 - 피아노 소나타 제15번





Schubert, Piano Sonata No.15 in C major, D.840 
‘Reliquie’
슈베르트  피아노 소나타 제15번 (종교적)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1. Moderato,      2. Andante,       
3. Menuetto: Allegretto (incomplete),      4. Rondo: Allegro (incomplete)    

(incomplete) = 미완성

Alfred Brendel, piano




슈베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15번이 슈베르트가 죽고 나서 한참 뒤인 1861년에 처음 출판되었을 때, 이 곡은 슈베르트의 마지막 피아노 소나타라고 잘못 알려졌었다. 이 곡은 1825년 4월에 쓰인 것으로, 작곡가는 이 곡과 함께 〈피아노 소나타 A단조〉 D845를 작업하고 있었다


미완성 소나타
 슈베르트는 이 곡을 끝까지 완성하지 못했다. 현재 연주되는 것은 이 곡의 완성된 두 개의 악장만이다. 원래는 4개의 악장으로 계획되었으나, 슈베르트는 3악장의 미뉴에트 섹션을 채 완성하지 못했다. 그러나 그는 트리오 섹션은 완성시켰다. 남아있는 미뉴에트의 스케치는 그가 이 곡에서 화성적인 실험을 시도하려고 했음이 드러나고 있다. 또한 마지막 4악장 역시 270마디 이후 갑자기 완성되지 않은 채로 끝이 나고 있다. 학자들은 슈베르트가 이 곡을 끝까지 쓰지 않고 그냥 내버려두었던 것은 무엇인가 시도하려다가 실패한 3악장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이 곡은 두 악장 밖에 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30분여의 연주시간이 소요될 만큼 규모가 큰 곡으로 계획되었다.

슈베르트의 ‘거짓 재현부’
 1악장은 슈베르트의 독특한 소나타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원래의 소나타 형식에서 재현부는 곡의 시작부분으로 다시 돌아오는 것을 일컫는데, 이 곡에서 슈베르트는 전통적인 소나타 형식의 도식에서 일탈하는 모습을 보인다. 다시 말해, 이 곡을 시작하는 C장조의 1주제는 재현부에서도 똑같이 등장을 해야 하지만, 슈베르트는 C장조가 아닌, 그것도 C장조에서 아주 먼 조성인 B장조에서 1주제를 다시 시작하는 듯 다시 F장조에서 1주제를 등장시킨다. 이렇게 되면 음악을 듣는 이들은 어디가 도대체 재현부의 시작인가 의아해 할 수 밖에 없다. 1악장에서의 재현부는 그렇게 감상자들과 숨바꼭질 놀이를 하다가, 재현부가 시작되는 지점을 한참 지나서 결국 C장조에 이르러서 장엄하게 등장한다.



Schubert, Piano Sonata No.15 in C major, D.840 
‘Reliquie’

Artist: Gottlieb Wallisch

 

1. Moderato,      
소나타 형식의 1악장은 오른손과 왼손 유니슨의 1주제로 고요하게 시작한다. 주제가 제시되면 음악은 1악장 전반에 등장하는 독특한 당김 리듬을 도입한다. 이 리듬은 처음에는 선율적인 요소들에 가려서 특징적으로 보이지 않지만, 곧 1주제를 반주하는 리듬형으로 등장하면서부터는 감상자의 귀에 매우 특징적으로 들릴 만큼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2주제는 1주제와 거의 흡사한 선율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왼손의 반주부 역시 앞에서 등장한 당김 리듬이 계속 사용되어 이 곡의 섹션 구분은 더욱 모호해진다.

 

 

2. Andante
다섯 부분으로 구성된 론도 형식의 악장이다. 1주제는 c단조의 사색적인 선율로 되어 있다. 이어지는 A♭장조의 2주제 부분은 쉼 없이 움직이는 16분음표와 약박에 붙어있는 악센트를 특징으로 한다. 이 계속되는 16분음표는 음악이 진행되어 다시 1주제가 원조로 돌아올 때까지 계속된다. c단조로 돌아올 때, 주제는 장식을 동반하여 이 곡에 변주곡 같은 느낌을 부여한다. 다시 등장하는 2주제는 이번에는 C장조로 전조되었다가 다시 c단조의 1주제가 돌아오면서 악장이 마무리 된다.

 

 

3. Menuetto: Allegretto (incomplete),         

 

 

4. Rondo: Allegro (incompl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