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산책/Nashville

[가요] 미워도 다시한번 - 남진, 임영웅

jubila 2023. 9. 15. 03:44

미워도 다시한번 - 남진, 임영웅













미워도 다시 한번
(1968)
 
김진경:작사/이재현:작곡 

남진, 임영웅 

이생명 다바쳐서 죽도록 사랑했고

순정을 다바쳐서 믿고 또 믿었건만
영원히 그사람을 사랑해선 안될 사람
말없이 가는 길에 미워도 다시 한번
아~ 아 안녕


지난날 아픈 가슴 오늘의 슬픔이여
여자의 숙명인가 운명의 장난인가
나만이 가야하는 그 사랑의 길이기에
울면서 돌아설때 미워도 다시 한번
아~ 아 안녕














 

남진




 

 

 

임영웅




 

 

 

 










1968년 여름에 개봉되어 흥행돌풍을 일으킨 <미워도 다시한번>은 서울 국도극장 단일관에서만 38만명
(서울인구 380만명)의 관객을 모았다.

이후,  전국 700여개 스크린에서 1,200만명을 동원한 <실미도>의 경우 극장수로 환산하면,
1개 극장에서 불과 2만여명의 관객을 동원한 걸로 추측이 되는데, 이렇게 개봉극장 수와 인구 수로 계산하면, 아마 한국영화사 최고 흥행작은 <미워도 다시한번>이라는 생각이 든다.
더구나 그 당시에는 속칭 5류극장까지 있었고,
빈민층이 많았던 시절이라 비교적 입장료가 저렴한 재개봉관에 관객이 더욱 몰렸다고 한다.
통계에 나와있지 않은 5류극장 관객수까지 합하면 아마 서울에서만 100만명의 관객을 동원한 걸로 추측이 된다.

<문희>가 비련의 여주인공으로 나와 특유의 눈물연기를 보여주었고,
<신영균>과 <전계현>이 상대역으로 그리고 천재소년이라는 닉네임을 단 아역배우 <김정훈>은 이 영화의 성공으로 인기스타 대열에 올라, 이후 수많은 영화에 주,조연으로 등장했다.
또 <미워도 다시한번>으로 흥행 감독대열에 들어선 <정소영>은 이 영화 이후 80년대 초반까지
다수의 멜로드라마를 발표, 많은 히트작들을 연출하였으며 <필녀>(70), <잊혀진 여인>(70), <내가버린 여자>(78), <마지막 찻잔>(79) 등의 대표작을 남겼다.

“최루탄의 폭발적 승리”라는 평가를 받은 이 영화는 “엄마의 모성애”라는 인간의 가장 근원적인 것을 다루었고, 전국을 눈물바다로 만들었다.
이 영화가 히트하자 제작자 한진흥업에서는 무려 4편까지 만들었고,
2편은 당시 신인그룹에 속했던 여류작가 김수현이 극본을 썼다.
<남진>과 <이미자>가 같이 취입했던 주제가 <미워도 다시한번>은 2편, 3편에 삽입되어 주제가 역시, 크게 히트하였으며, 4편에는 TV 탈렌트 노주현(데뷔명 노운영)이 문희의 장성한 아들역으로 스크린에 데뷔하였다.
세월이 흘러가며 영화 <미워도 다시한번>은 한국영화사 최고의 여성 멜로드라마로 자리 메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