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 je t'oublie pendant le jour만일 내가 하루 동안 당신을 잊게 된다면Je passe mes nuits à te maudire난 당신을 원망하며 온 밤을 보내겠어요Et quand la lune se retire그런데 달이 사라져버릴 때면J'ai l'âme vide et le cœur lourd난 허전함을 느끼며 마음이 무거울 거에요La nuit tu m'apparais immense그날 밤 당신은 내게 아주 멋지게 보였어요Je tend les bras pour te saisir난 당신을 잡기 위해 팔을 뻗었지요Mais tu prends un malin plaisir하지만 당신은 심술궂게도A te jouer de mes avances내가 접근하는 것을 조롱하며 즐거워했어요La nuit je deviens fou, je deviens fou그날 밤 난 바보가 되었어요, 바보가 되었답니다Et puis ton rire fend le noir게다가 당신이 웃는 소리에 난 마음이 아팠어요Et je ne sais plus où chercher그리고 난 어찌할 바를 몰라했지요Quand tout se tait revient l'espoir모든 것이 잠잠해지고 희망이 다시 솟아났어요Et je me reprends à t'aimer그래서 난 당신을 다시 사랑하기로 했어요Tantôt tu me reviens fugace
잠시 후 당신은 내게서 곧 사라졌지만Et tu m'appelles pour me narguer나를 비웃으려고 나를 불렀지요Mais chaque fois mon sang se glace정말이지 매순간 나의 피는 얼어 붙었답니다Ton rire vient tout effacer당신이 웃는 소리는 모든 것을 없애버리는 듯 했어요La nuit je deviens fou, je deviens fou그날 밤 난 바보가 되었어요, 바보가 되었답니다Le jour dissipe ton image그날로 인해 당신에 대한 환상이 깨어졌어요Et tu repars je ne sais où그리고 당신은 되돌아가고 난 알 수가 없었답니다Vers celui qui te tient en cage작은 방으로 당신을 데리고 간 남자가 어디에 있는지Celui qui va me rendre fou나를 바보로 만든 그 사람이 어디에 있는지Le nuit je deviens fou, je deviens fou그날 밤 난 바보가 되었어요, 바보가 되었답니다
Salvatore Adamo(살바토레 아다모)는 1943년 11월
1일 이탈리아의 시칠리아섬 코미조에서 태어나 세살때 벨기에로
이민을 하였다. 1962년에 싱글 La Nuit가 히트되면서 널리 알려졌으며
1964년 당시 21세의 Adamo는 벨기에 적십자사 창립 100주년 기념식장에서
왕과 왕비 앞에서 노래를 부르는 영광을 누리기도 하였다. 당시 파올라 공주를 위해
Dolce Paola(다정하신 파올라)를 작곡해 헌정하였다. 이어 1965년 9월 16일
파리의 올림피아 극장에 등단하여 22세라는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샹송
가수라면 누구나 꼭 등단하고 싶어 하는 무대에 선 것이다.
1966년 올림피아 실황을 담은 2집 Adamo a L'Olympia를
발표하였다. 이때부터 단골 출연자로 1973년까지 모두 4회에 걸쳐
자신의 스테이지를 마련했고 그때마다 실황 앨범을 출반하였다. Adamo의
음악에대한 열정과 풍부한 감정은 그를 유럽에서 상업적으로 가장 성공한 가수중
한명으로 만들었다. Adamo의 첫번째 앨범 Vous Permettez Monsieus의 성공으로
Adamo는 세계적인 가수가 되었고 앨범 Vous Permettez Monsieus은 팔백만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는 기록을 세웠다. Adamo는 Victor Hugo(빅토르 위고),
Jacque Prevert(자끄 프레베르), Georges Brassens(죠르쥬 브라상스),
Tango(탱고), Italian Canzoetta(이탈리안 칸초네)의 영향을 받았다.
Adamo는 Tombi La Neige, Sans Toi Mamie, Quand
Les Roses등의 곡을 히트시켰다. 80년대 이후 이렇다할 활동이나
히트작은 없으나 매년 겨울이면 어김없이 국내의 음악 팬들에게 찾아오는
샹송 가수이기도 하였다. Adamo는 1990년 3월말에 새로운 모습으로 프랑스
파리에서 재기공연을 가졌고 1993년초 앨범 Reveur De Fond를 워너 뮤직에서
발표하였다. 이 앨범의 수록곡 중 사랑에 대한 내용을 담은 Cet Amour, Plus
Fort Que Le Tenos,가 히트했으며 올드 팬들에게는 향수를 안겨주었다.
Adamo의 노래는 종래의 샹송에서 일방적으로 강조되어온
문학성 대신 음악성 특히 선율에 중점을 둬 인기를 끌었고 Adamo의
레코드는 프랑스에서만 2,500만장, 독일과 이탈리아, 스페인에서 900만장
그리고 남미와 동남아 등지에서 600만장이라는 경이적인 판매고를 올린걸 보아도
Adamo의 노래는 국경과 민족을 초월한 것으로 거기에는 Adamo만이 지닌 일관된
스타일이 있기 때문이다. 그의 노래속에는 어떤 내용의 샹송이건 향수가 담겨져 마치
영원한 주제처럼 깃들여 있고 따스한 인간미와 인간에 대한 그리움이 있기 때문에
프랑스 말을 전혀 이해 못하는 세계의 사람들 사이에서 더욱 사랑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