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베르트 피아노 소나타 제14번
Schubert, Piano Sonata No.14 in A minor, D.784 (Op.143) 슈베르트 피아노 소나타 제14번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
1. Allegro giusto, 2. Andante, 3. Allegro vivace Franziska Lee, Piano |
슈베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제14번의 작곡은 1823년 2월로 추정되며 슈베르트 사후 1838년에 출판된 유작으로 출판사에 의해 멘델스존에게 헌정됨. 이 소나타는 피아노 소나타 A장조 D. 664를 작곡한지 4년 만에 완성한 소나타 이다. |
다작과 속작의 달인 슈베르트가 13번 소나타를 작곡한 지 4년이 경과되었다는 것은 나름 많은 문제에 대한 고민과 모색의 시간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슈베르트는 주옥같은 가곡에서 보여주듯 타고난 노래 양식과 소나타의 요구 사이의 갈등을 다중적 악장과 확대된 형식이라는 자기만의 방법으로 해결하려 하였다. 슈베르트 소나타의 주제는 동기가 발전하며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확대된 선율로 이루어지며, 그 주제는 환경을 달리하여 나타나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였다. 소나타 악장에서 조성은 일반적인 경우보다 하나 더 많은 세 개가 사용되며, 느린 악장은 노래스러운 면이 특히 강하게 나타나고 즉흥곡의 느낌을 준다. 창작에 대한 고뇌의 시기를 거친 14번 소나타는, 우아하고 장식음이 많이 달리 초기 작품과 달리 독창적이고 절제되어 슈베르트의 말년 ‘Great Eight Sonata’의 시작을 알린다. 한편, 슈베르트의 피아노곡들은 작곡가의 방랑자적 기질을 닮아서 주저하고 망설이고 방랑하거니와, 소나타는 그의 삶처럼 적막하고 고요하며 심지어 싸늘할 때도 있다. 이즈음 슈베르트는 ‘아름다운 물방앗간 아가씨’를 작곡하여 명성은 높아졌지만 그를 괴롭히는 병은 더욱 깊어져, A단조의 이 곡은 장엄하면서 비장한 느낌마저 준다. 깊게 가라앉는 주제로 시작하는 1악장에서 ‘땅 땅’하고 터지는 굉음과 왼손의 저음 반주에 따라 비장하게 흐르는 선율은 장송곡인가 싶을 정도로 사뭇 비장하고 어두운 느낌을 준다. 느리고 명상적으로 전개되는 2악장에서는 가곡 ‘가을밤에 달에게’의 리듬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듬해에 작곡한 ‘아르페지오네 소나타’에도 비슷한 부분이 나온다. 가곡적인 분위기와 영웅적이며 비극적인 분위기가 혼재하는 3악장은 1악장에 나타났던 마차를 끄는 듯한 소리가 피할 수 없는 비극적 운명처럼 다가온다. |
Schubert, Piano Sonata No.14 in A minor, D.784 (Op.143) Maria João Pires Piano |
1. Allegro giusto, |
1악장은 강약 대비를 중심으로 선율이 진행하며 제1 주제는 피아니시모로 시작함. 제2 주제는 코랄 형식의 E장조로 제시됨. 이후 주제가 되풀이 연주된 후 코데타로 연결됨. 발전부는 제1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하며 점리듬에 의한 음형으로 선율이 진행됨. 재현부는 제1 주제의 형식대로 진행하지만 제2 주제는 A장조로 변화되어 재현됨. 코다는 32마디로 구성되었으며 A장조로 진행됨. |
2. Andante, |
2악장은 느린 템포로 진행하는 악장이며 전반부 주제의 뒷부분은 특징적인 부수 음형의 선율로 구성됨. 후반부는 주제의 재현으로 구성됨. |
3. Allegro vivace |
3악장은 A단조로 제1 주제부와 경과부를 포함함. B부분(51~79마디)은 F장조로 제2 주제부를 연주함. A부분(80~130마디)은 A단조로 진행하며 B부분(131~161마디)은 C장조로 연주됨. C부분(162~198마디)는 A부분과 B부분을 사용하여 전개됨. A부분(199~226마디)은 다시 A단조로 진행하며 B부분(227~252마디)은 A장조로 변화됨. 마지막 코다부분(253~269마디)은 A단조로 진행함. 제1 주제부(A부분)의 주제는 셋잇단음을 중심으로 제시됨. 후반부는 16분음표와 스타카토로 이루어진 경과구가 진행함. 제2 주제(B부분)는 제1 주제와는 다른 성격으로, 병행조가 아닌 장3도 아래인 F장조로 제시됨. C부분은 새로운 주제가 아니라 A부분과 B부분의 주제를 바탕으로 발전부 형식으로 진행함. |
'음악의 산책 > Baroq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현악] 브람스 - 항가리 무곡 (0) | 2022.04.21 |
---|---|
[가곡] 이별의 곡(쇼팽의 이별곡) - 박인수, Tenor (0) | 2022.04.20 |
[연주곡] The Mission - Yo-Yo Ma Plays, Ennio Morricone (0) | 2022.04.19 |
[교향곡] 말러 교향곡 제4번 (0) | 2022.04.19 |
[크로스오버] Adios Mujer - Helmut Lotti (0) | 2022.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