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베르트 교향곡 제1번
Schubert Symphonie No. 1 in D major, D 82 슈베르트 교향곡 제1번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
1. Adagio - Allegro vivace, 2. Andante, 3. Menuetto: Allegro, 4. Allegro vivace Academy of the Berliner Philharmoniker Karajan |
슈베르트는 이 작품을 빈에서 1813년 10월 28일에 완성했고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 출판사에서 출판했다. 슈베르트는 1808년~1813년 가을까지 빈의 국립신학교에 재학 중에 착수했다.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의 영향과 함께 독창적인 경향이 혼재하며 아마추어 오케스트라(빈의 국립신학교 오케스트라)를 위한 곡으로 고전파의 전통과 연결된다. 초연은1881년 2월 5일 런던의 크리스탈 펠리스에서 어거스트 만스 지휘로 이루어졌다. |
이 작품은 어린 슈베르트가 작곡한 최초의 주요 오케스트라 곡으로 모차르트의 어릴 적 곡들만이 이 곡의 성숙한 면모를 능가할 수 있을 것이고, 이에 비해 베토벤과 하이든은 다소 늦게 성숙한 면모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이 음악에서 놀라운 상상력은 사색적인 면모들에서가 아니라 최종적으로 이루게 되는 승리에 넘치는 절정에서 완전히 꽃을 피게 된다. 이 작품은 현과 한 대의 플루트, 한쌍씩의 오보에와 클라리넷, 바순, 트럼펫, 호른, 그리고 팀파니로 편성되어 있다. 슈베르트가 이 곡을 작곡하게 될 당시 그는 하이든과 모차르트, 베토벤을 알고 있었다. 따라서 이 곡은 설계나 다이나믹 영역, 일반적 느낌이 있어서 이 대작곡가들에 의해 이루어진 빈 고전음악 전통을 고스란히 물려받았다고 할수 있다. 오늘날까지도 인상적인 것은 이 곡에서 슈베르트가 설정한 험난한 길을 풀어나가는 방식이다. |
Schubert Symphonie No. 1 in D major, D 82 Orchestra: B'Rock Orchestra Conductor: René Jacobs |
1. Adagio - Allegro vivace, |
아다지오는 서주이며 2/2 박자, D장조로 시작하며. 점리듬과 겹점리듬의 사용, 단조로의 전환, 3화음을 분해한 동기를 반음계적으로 하행하는 빈 고전파의 형식을 그대로 이어받은 서주 부분이다. 주제부는 알레그로 비바체, D장조, 2/2박자, 소나타 형식을 취하고 바이올린이 제 1 주제를 강약으로 대비하면서 진행한다. 목관의 경과부를 지나 A장조의 제2 주제를 바이올린이 연주하고 발전부는 목관에 의한 제 2 주제를 소재로 진행한다. 재현부는 서주부의 악구를 사용하며 이후 제1 주제를 제시한 후 악장이 종결된다. |
111111111
2. Andante, |
트럼펫과 타악기가 사용되지 않으며 1부는 바이올린에 의해 주제가 제시되며 플루트를 중심으로 반복된다. 2부는 E단조로 악센트를 주며 3부는 1부의 선율을 중심으로, 부차적인 선율이 서로 겹친다. |
222222
3. Menuetto: Allegro, |
미뉴에트 주제는 1악장 제 2 주제와 관련이 있으며 렌틀러풍의 D장조, 트리오는 작곡가의 독창성을 부각시킨다. |
333333
4. Allegro vivace |
제 1 주제는 제 1 바이올린이 제시함. 이후 경과부를 거쳐 바이올린과 파곳으로 A장조, 제 2 주제를 연주한다. 발전부는 1악장과 유사하게 목관으로 제 2 주제로부터 제 1 주제로 접근한 뒤 재현부로 넘어가고 이후 일반적인 형태로 코다를 거쳐 곡이 종결된다. |
44444444
'음악의 산책 > Baroq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아노] 하이든 - 피아노 소나타 제1번 (0) | 2022.07.06 |
---|---|
[뉴에이지] La Petite Fille de La Mer (바닷가의 작은 소녀) - Vangelis (0) | 2022.07.05 |
[연주곡] Romance / Dmitri Shostakovich (0) | 2022.07.04 |
[관현악] 모차르트 /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 (0) | 2022.07.04 |
[가스펠] Pietro Mascagni / Ave Maria - Plácido Domingo, Sissel Kyrkjebø (0) | 2022.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