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산책/Nashville

(샹송)Je Te Veux (나 그대를 원해, E. Satie) - Vaya Con Dios

jubila 2014. 1. 25. 13:55

Je Te Veux (나 그대를 원해, E. Satie) - Vaya Con Dios







 
Je Te Veux (나 그대를 원해)

Sung By
Vaya Con Dios


Composed : E. Satie

  
J'ai compris ta détresse, 
Cher amoureux, 
Et je cède à tes voeux: 
Fais de moi ta maîtresse. 
그대의 근심 나는 알아
사랑하는 이여.
나 그대의 소망에 따라
그대를 내 사람으로 맞으리
Loin de nous la sagesse, 
Plus de tristesse, 
J'aspire à l'instant précieux 
Où nous serons heureux: .
Je te veux. 
아무 걱정 없이 
슬픔도 없이
우리 행복해질
그 소중한 순간을 나 갈망하지
그대를 원해.
Je n'ai pas de regrets, 
Et je n'ai qu'une envie: 
Près de toi, là, tout près, 
Vivre toute ma vie. 
후회하지 않아.
바라는 것은 오직 하나,
그대 곁, 바로 곁에서
내 온 삶을 보내는 것.
Que mon coeur soit le tien 
Et ta lèvre la mienne, 
Que ton corps soit le mien, 
Et que toute ma chair soit tienne. 
내 마음이 그대 것이 되고,
그대 입술이 내 것이 되기를.
그대 몸이 내 것이 되고,
내 온 몸 그대 것 되길.
J'ai compris ta détresse, etc.
Oui, je vois dans tes yeux 
La divine promesse 
Que ton coeur amoureux 
Vient chercher ma caresse. 
그래, 그대 눈 속에서 나는
고귀한 약속을 봐.
사랑에 젖은 그대 가슴은
나의 애무를 갈망하지.
Enlacés pour toujours, 
Brûlés des mêmes flammes, 
Dans des rêves d'amours, 
Nous échangerons nos deux âmes. 
영원히 하나가 되어,
같은 불길 속에 타오르면서
사랑의 꿈 속에서
우리 두 영혼 나누자.





 


에릭사티에 대해서.......

에릭사티는 평생 권위에 대한 반발과 학술주의, 직업주의에 대한 멸시를 바탕으로 한 작품 세계를 만들어 나갔는데, 가식이 전혀 없는 솔직한 곡들을 썼다고 한다. 우리는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얼마나 거짓과 위선속에서 살아가는가.....
작곡 기법을 보아도 기능적인 제약에 묶이지 않는 자유로움이 화성 진행에 그대로 나탄난다. 사티는 주변의 흐름에 전혀 동요하지 않고 자신만의 음악 세계를 추구해 나갔는데, 이것은 비평가들에게 비판의 좋은 표적거리가 되었고, 동시대 작곡가들에게 이단시 되기도 했다고.

수잔 발라동과의 러브스토리도 우울하고 굴곡이 많은데, 그들에 대한 이야기는 다른 블로그에서 가져온 것으로 대신한다.

- 이하 내용 출처 : http://blog.empas.com/doosol00/4215151-

피아니스트이며 작곡가인 에릭 사티가 예술가로서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그가 죽은 지 38년 만이다. 에릭 사티를 죽을 때까지 따라다닌 것은 가난과 독신이었다. 그는 평생 ‘무슈 르 포브르’ 즉, ‘가난뱅이 씨’라고 불릴 만큼 가난했으며 단 한 번의 연애를 끝으로 독신으로 살았다. 묻혀 있던 그를 다시 발견한 것은 프랑스 영화감독 루이 말이었다. 1963년, 루이 말 감독은 자신의 영화 <도깨비불>의 영화음악으로 사티의 피아노 곡을 사용했다. 영화가 개봉되자 ‘정신이 아찔해질 만큼 아름다운 이 음악은 대체 누가 작곡한 거지? 뭐? 사티라고? 도대체 그가 누구야?’ 하며 전 세계가 깜짝 놀랐다. 마치 두껍고 푹신한 카펫이 깔려 있는 계단을 올라가듯 툭툭 들려오는 피아노 소리. <짐노페디>나 <그노시엔>. 큰 소리로 외치는 게 아니라 귓가에 속삭이는 듯한 피아노 소리. 에릭 사티의 음악을 글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수잔 발라동(Valadon, Suzanne, 1867~1938)과 아들 모리스 위트릴로

파리 몽마르트르로 이사 온 시골 청년 사티는 술집에서 피아노를 치며 곤궁한 생계를 이어 가고 있었다. 술집에서 처음 쉬잔 발라동을 보았을 때, 그녀는 그 당시 이미 유명했던 화가 툴루즈 로트레크와 춤을 추고 있었다. 그때 사티는 절대로 겁먹을 것 같지 않은 야생의 냄새를 풍기는 그녀를 보며 ‘섣불리 손댔다가는 깨물릴 것 같군’ 하는 생각을 한다. 쉬잔 역시 로트레크의 어깨 너머로 사티를 눈여겨보고 있었지만 그들이 다시 만난 건 2년 뒤의 일이다. 그가 한평생 사랑했던 여자, 쉬잔 발라동. 화가 툴루즈 로트레크와 르누아르, 퓌비 드 샤반의 모델이며 그들의 연인이기도 했던 쉬잔. 사티는 그녀를 사랑했다. 사티는 어머니를 사랑했다. 그 둘의 모습은 거울처럼 닮아 있었다.

사티가 몽마르트르에서 만나 우정을 나누었던 소년 위트릴로는 쉬잔이 열여덟 살 때 낳은 사생아다. 사티가 쉬잔과 사귈 때, 사티의 집 문 앞에다 사티가 좋아하던 떠돌이 개를 죽여 상자에 담아 놓아두었던 소년. 그러나 먼 훗날, 부자와 결혼을 앞둔 쉬잔을 두고 사티가 몽마르트르를 떠나려고 할 때 함께 가게 해 달라며 사티에게 매달렸던 소년. 그 소년이 훗날 ‘몽마르트르의 화가’라고 불렸던, 몽마르트르에서 살고 몽마르트르에서 죽은 화가 위트릴로이다. 그는 어머니 쉬잔을 사랑했지만 쉬잔은 평생 그를 냉대했다. 그러나 위트릴로에게 그림을 가르치기 시작한 사람은 바로 그녀였다. 위트릴로는 어머니 쉬잔을 사랑했고 쉬잔은 사티를 사랑했고 사티는 일곱 살 때 죽은 어머니를 사랑했다. 사티와 쉬잔이 헤어진 건 어머니 때문이다.
르누아르의 모델을 하면서 그의 그림을 흉내내기 시작하며 화가의 꿈을 키워 가던 쉬잔은 사티에게 모델이 되어 줄 것을 부탁한다. 그들의 동거는 반년 동안 지속된다. 어느 날 쉬잔과 사랑을 나누고 있던 사티는 맞은편 거울 속에서 벌거벗고 있는 어머니의 모습을 보게 된다. 깜짝 놀라 돌아보니 벌거벗은 쉬잔이 “당신, 갑자기 왜 그래요?”라며 묻는다. 그날 이후로 사티는 쉬잔과 육체적인 사랑을 나눌 수 없게 되었다.

사티의 초상화를 완성한 쉬잔이 슬픈 어조로 이렇게 말했다. “이걸 그릴 때 내 몸과 마음이 참 이상한 느낌이 들었어요. 어쩐지 이건 내가 그린 게 아니라, 내 몸 속에 들어온 당신 어머니가 그린 것 같아요.”
헤어지고 두 달 뒤 사티는 쉬잔에게 편지를 쓴다. ‘나는 어머니를 사랑했소. 그러나 나는 당신을 사랑했소. 이 사랑은 영원히 변치 않을 것이오.’

그 뒤 사티는 애달프고 슬픈 음악들을 계속 작곡하였지만 한동안 압생트라는 독한 술에 빠져 살았다. 쉬잔은 그녀의 소망대로 프랑스의 표현주의 화가로 성공했다. 사티는 59세에 죽었다. 그가 죽은 뒤 아르크에 있던 그의 방에서 부치지 않은 편지 한 묶음이 발견되었다. 수신인은 모두 쉬잔 발라동이었다. 그리고 한 장의 사진이 있었다. 쉬잔과 그의 아들 위트릴로와 개 한 마리가 나란히 있는. 그리고 뒷면에는 ‘사랑스러운 쉬잔 발라동의 사진’이라는 사티의 고딕 필체가 남아 있는. 이 사진 속에 사티는 보이지 않는다. 사티가 죽은 뒤 이 사진을 건네받은 쉬잔이 개줄을 쥐고 있던 맨 왼쪽 사티의 모습을 도려낸 것이다.
30여 년 세월이 흐른 뒤에야 겨우 배달된 사티의 편지를 받은, 61세의 유명인사 쉬잔은 이렇게 고백한다. “솟아나는 추억은 괴롭기도 하고 즐겁기도 하지만….”
그 말줄임표의 의미는 무엇이었을까. 그 숨겨진 의미 때문에 쉬잔은 사진 속 사티의 모습을 도려내 버렸던 것일까.

쉬잔을 떠올리며 작곡할 때, 사티는 생각했다. 쉬잔을 육체적으로는 소유할 수 없었지만 예술적으로는 가질 수 있다, 라고. 결국 쉬잔에 대한 사티의 예술적 소유는 지금 우리가 함께 나눌 수 있는 사티의 음악, 즉 예술로 승화한 것이다. 단 한 번의 연애. 사티가 쉬잔을 만난 건 그의 나이 스물일곱 살 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