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차르트 교향곡 제29번
Mozart Symphony No.29 in A major, K.201 모차르트 / 교향곡 제29번 가장조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
1. Allegro moderato, 2. Andante, 3. Menuetto - Trio, 4. Allegro con spirito Concertgebouw Chamber Orchestra Jelena Ristic |
모차르트의 “교향곡 제29번”은 1774년 봄, 모짜르트가 18세때 잘쯔부르크에서 완성한 것으로 많은 면에서 하이든의 영향을 받고 있고, 그와 동시에 하이든의 동생이자 잘쯔부르크의 대사교 궁정에 봉직하고 있던 미하엘 하이든의 영향도 받고 있다. 모짜르트는 평소 미하엘 하이든을 대위법의 대가로 존경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 곡의 제1악장 제1주제의 모방적인 수법은 미하엘의 영향이라고 보여진다. |
교향곡 제29번 A장조 이 매혹적인 교향곡은 사람들이 모차르트에게 기대하는 전형적인 이미지를 충실히 구현하고 있다. 즉, 경쾌하고 우아하며 생동감이 넘칠 뿐 아니라, 듣는 이 누구에게나 행복감을 만끽하게 만드는 ‘해피 에너지’를 가득 머금고 있는 것이다. 모차르트는 이 곡에서 이탈리아적인 양식과 오스트리아적인 양식을 절묘하게 융화시켰다. 즉, 이탈리아적인 유창한 선율미와 화사한 색채감을 오스트리아적인 체계적인 형식과 유기적으로 결합시켰던 것이다. 특히 각 성부가 독립적으로 움직이고 주선율과 화성이 섬세하게 얽히는 등 실내악적인 서법이 두드러지는데, 이 역시 빈에서 접한 음악들의 영향이었다. 아울러 첫 악장과 끝 악장에서 볼 수 있는 주제의 통일성, 미뉴에트를 제외한 모든 악장을 소나타 형식으로 구성한 점, 제시부는 물론이고 발전부와 재현부도 반복하며 그 뒤에 코다를 붙인 점 등도 빈에서 배운 것이었다. 모차르트의 교향곡 창작 이력은 상상 이상으로 길다. 그가 첫 교향곡을 작곡한 것은 여덟 살 때인 1764년, 런던 체류 중의 일인데, 이것은 그보다 24세나 연상이었던 요제프 하이든보다 겨우 5년 늦은 출발이었다. 그 후 그의 교향곡 창작은 이른바 ‘3대 교향곡’으로 불리는 마지막 세 작품이 나오는 1788년 여름까지 이어진다. 그러니까 모차르트는 불과 35년 남짓한 생애 중에서 무려 25년간에 걸쳐 교향곡 창작을 이어나갔던 것이다. 그런데 그 25년 가운데 1773년 10월 초에서 1774년 4월 초에 이르는 6개월간은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시기에 모차르트의 교향곡 양식이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켰기 때문이다. 1773년 여름에 빈으로 여행을 다녀온 후 모차르트는 전혀 새로운 스타일의 교향곡 두 편을 쓰게 된다. 이 작품들에서 그는 이전까지의 이탈리아 풍 ‘신포니아’ 스타일에서 탈피하여 오스트리아적인 스타일로 전향했고, 나아가 자신만의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던 것이다. 그 두 교향곡은 바로 알프레트 아인슈타인이 ‘기적과도 같은 작품들’이라고 찬사를 보냈던 [제25번 g단조]와 [제29번 A장조]였다. 1773년 3월, 세 번째 이탈리아 여행에서 돌아온 모차르트는 잘츠부르크에 억류될 위기에 처했다. 주군인 콜로레도 대주교가 그에게 궁정악사로서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할 것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그는 의무를 다하기 위해서 작곡을 해야 했고 궁정악단 수석 바이올린 주자로서 정기적으로 무대에 올라야 했다. 여느 음악가라면 그런 안정된 직장을 마다할 이유가 없었겠지만, 모차르트에게 있어서 한 곳에, 그것도 잘츠부르크처럼 답답한 곳에 얽매인다는 것은 차라리 죽느니만 못한 일이었다. 그런 상황에서 여름이 되자 솔깃한 정보가 들려왔다. 빈(Wien)의 궁정악장인 플로리안 가스만(Florian Gassmann)이 중병에 걸렸다는 소식이었다. 레오폴트 모차르트는 그것이 아들에게 좋은 기회가 되리라고 생각했다. 즉, 가스만이 물러나 빈 궁정악단에 빈자리가 생기면 거기에 아들을 앉혀볼 심산이었던 것이다. 제국의 수도인 빈은 음악적인 환경면에서 잘츠부르크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풍요로운 도시였고, 무엇보다 아들이 그토록 바라마지 않는 오페라를 작곡할 기회가 많은 곳이었다. 그래서 대주교가 요양차 자리를 비우는 틈을 타서 다시 한 번 휴가를 얻어 아들과 함께 빈으로 달려갔다. 그러나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를 알현한 순간, 그들의 기대는 신기루처럼 사라지고 말았다. “황후 폐하께서는 우리에게 더할 나위 없이 친절하셨소. 그러나 그뿐이었소.” 비록 희망은 좌절되었지만 보상은 있었다. 당시 빈의 문화계에서는 ‘질풍노도(Sturm und Drang)’의 사조가 위세를 떨치고 있었다. 클롭슈토크, 레싱, 괴테의 문학작품들이 인기를 끌었고, 강렬한 기운과 비장한 색채를 내세운 가스만, 하이든, 글루크 등의 음악작품들이 각광을 받았다. 그러한 빈의 분위기는 사춘기 소년 모차르트의 영감을 자극했고, 그는 거기서 거둔 예술적 수확을 바탕으로 잘츠부르크로 돌아온 직후에 자신의 첫 번째 단조 교향곡인 [교향곡 제25번 g단조]를 작곡했던 것이다. 이 곡을 완성한 것은 1773년 10월 5일의 일이었다. 한편 그로부터 6개월 후, 모차르트는 다시금 진일보한 교향곡을 선보인다. 이번에는 함께 잘츠부르크 궁정악단에 몸담고 있던 미하엘 하이든(Michael Haydn)의 영향을 받았는데, 미하엘은 다름 아닌 요제프 하이든의 동생이었다. 모차르트는 형인 요제프보다 덜 유명하면서 시인 같은 풍모를 지닌 미하엘 하이든에게 남다른 친근감을 느꼈다. 그는 미하엘의 많은 작품들에 대해서 통째로 베껴볼 가치가 있을 정도로 배울 점이 많다고 생각했다. 그가 1774년 4월 6일에 완성한 [교향곡 제29번 A장조]도 미하엘의 [A장조 교향곡]과 많이 닮아 있다. 하지만 물론 세부의 처리에 있어서는 모차르트의 작품이 더 세련되고 뛰어나다. |
Mozart Symphony No.29 in A major, K.201 Berliner Philharmoniker · Herbert von Karajan |
1. Allegro moderato, |
소나타 형식 곡은 먼저 제1바이올린에 의해 제1주제가 점차 음량을 증대시키면서 저성부에 대선율을 수반하여 나타난다. 이 주제는 옥타브의 도약과 반음계적 진행을 효과적으로 결합시킨 특징적인 선율이다. 제1바이올린이 연주하는 1주제는 다른 현악기의 협주로 정교하게 추진력을 갖게 되는 인상적인 악상을 전개한다. 1주제가 연주되면서 점점 셈여림이 커지고 악기의 편성 또한 커지게 된다. 2주제는 E장조로, 1주제와 비교할 때 다소 부드러운 선율을 연주한다. 발전부는 이전의 것에 비교할 때보다 치밀하게 작곡된 것으로, 1주제와 2주제의 부분들이 변형, 발전되는 짜임새 있는 구성이다. 이어지는 재현부는 당당한 코다를 거쳐 끝난다. |
2. Andante, |
소나타 형식 쾌활한 제1악장과 대조적으로 단아하고 유려한 선율을 특징으로 한다. 점음표의 탄력있는 리듬으로 된 제1주제가 나오고 이것이 반복되지만 이때에 나오는 대선율의 아름다움은 매우 인상적이라 할수있다. 우아한 2악장은 약음기를 낀 현악기의 연주로 부드럽게 시작된다. 느린 박자의 이 소나타 형식의 2주제 역시 우아하고 부드러운 선율을 연주하며, 선율을 연주하는 악기와 그것을 반주하는 악기의 서법이 정교하게 배치되어 있다. 발전부는 조성의 빈번한 변화를 거쳐 재현부로 돌아간다. 재현부의 마지막 코다에서 바이올린은 약음기를 뗀 음색으로 곡을 종결짓는다. |
3. Menuetto - Trio, |
복합 3부 형식 점음표가 붙은 활기있고 리드미컬한 주제의 미뉴에트와, 이에 비해 그의 만년의 작품인 “독일 무곡”의 악상을 연상케 하는 유창한 트리오의 중간부는 매우 대조적이면서도 아름다운 악상으로 전개되어 진다. 점음표 리듬의 미뉴에트 주제는 우아하기보다는 강렬한 느낌의 악상을 전개하며, 관악기의 반주가 미뉴에트 주제에 힘을 불어 넣는다. 트리오 부분이 오히려 미뉴에트에 비해 차분하게 전개되며, 점음표의 미뉴에트에 비해 온화한 성격을 지닌다. 트리오는 다시 미뉴에트로 돌아가 반복되며 끝난다. |
4. Allegro con spirito |
소나타 형식 곡은 마치 론도와 같은 느낌을 주기도 하는 경쾌한 곡상이지만 그렇다고 너무 가볍지만은 않은 견고한 구성미를 가지고 있다. 신선하고 발랄한 제1주제와 유동적인 제2주제는 잘 균형을 유지하고 있고, 전개부에서는 제1주제의 전반 동기만을 가지고 전개시켜 가지만 단조롭지만은 않은 변화무쌍함을 보여준다. 이것은 물론 작곡기법이 상당히 성숙되어 있다는 것을 뒷받침 해주는 것으로 곡은 관례에 따라 재현부에서 제시부로 반복되며 곡을 끝맺는다. 마지막 4악장의 1주제는 1악장의 주제를 상기시키는 옥타브 도약이 특징이다. 2주제는 장식음에 의한 가벼운 악상이 특징으로, 1주제와 대조적이다. 1주제의 동기로 시작되는 발전부는 극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모차르트가 이 시기까지 쓴 교향곡 가운데 가장 화려한 피날레 악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
'음악의 산책 > Baroq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아노] 프로코피에프 - 피아노 협주곡 제5번 (0) | 2022.05.21 |
---|---|
[뉴에이지] L'amour Reve (사랑의 품 안에서)- Andre Gagnon (0) | 2022.05.20 |
[크로스오버] Unbreak My Heart (Regresa A Mi) - Il Divo (0) | 2022.05.19 |
[관현악] 베토벤 / 현악4중주 제1번 (0) | 2022.05.19 |
[가곡] 내 마음은 호수요 - sop. 강혜정, ten. 김영환, sop. 김순영 (0) | 2022.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