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든 - 피아노 소나타 제6번
Haydn Piano Sonata No.6 in C major, Hob.XVI:10 하이든 피아노 소나타 제 6번 다장조, Haydn Franz Joseph, (1732∼1809) |
1. Moderato, 2. Menuet, 3. Finale. Presto Chris Breemer : Piano |
하이든의 피아노 소나타 제6번은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767년에 발표한 작품 이다. |
교향곡의 아버지라고 부르는 하이든(Franz Joseph Haydn, 1732∼1809)은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18세기 후반의 빈고전파를 대표하는 음악가이다. 오늘 소개하는 연주곡이 피아노 소나타라고 소개하였지만 원래 하이든(Haydn)이 작곡했을 때의 이 곡 이름은 조금 달랐다. '피아노 소나타(Piano Sonata)'가 아니라 '클라비어 소나타(Klavier Sonata)'였다. 클라비어(Klavier)란 독일에서 사용된 용어로 건반 있는 현악기를 일컷는 말이다. 1775년 무렵까지는 하프시코드나 클라비코드의 어느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모두를 가리켰다고 하는데, J.S. 바흐(Bach)의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Das Wohltemperierte Klavier]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것 처럼 일반적으로는 피아노를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18세기 후반∼19세기초 독일에서는 특별히 하프시코드와 구별하기 위해 피아노를 특히 하머클라비어(Hammerklavier)라고도 불렀다고 한다. 독일어 '하머(Hammer)'는 영어의 해머, 즉 망치를 뜻하니 타현악기의 특성을 직설적으로 표현하였다고 볼 수 있겠다. 또한 곡명 앞에 붙인 목록번호를 보면 알겠지만, 하이든(Haydn) 작품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목록 기호가 바로 Hob. 번호이다. Hob.는 Hoboken의 약자로서 A.v.Hovoken이라는 사람에 의해 정리된 하이든(Haydn)의 작품 목록을 뜻하는데 일반 Op와 다른 점은, Hob은 출판된 순서로 나열한 것이 아닌, 작곡한 순서대로 나열한 번호라는 것이다. 이 목록은 작품을 장르별로 나누고 우선 각 장르에 각각 로마숫자(I, II, III)로 번호를 붙였다. 그리고 각 장르마다 작품을 연대순으로 아라비아 숫자를 붙여 분류하였다. 연주곡명에 붙여지는 No. 표기는 다른 작곡가들의 작품 목록에도 흔히 쓰이는 표기이지만, 이 곡의 경우에는 Christa Landon이라는 사람이 특별히 하이든(Haydn)의 클라비어(Klavier) 소나타 작품에만 따로 붙인 표기이다. C.Landon이라는 사람에 관한 것은 자료가 부족해 자세히 알 수 없었으나 그가 모차르트의 피아노 작품에 관한 책도 따로 쓴 것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방면에 관한 연구를 많이 하는 사람이고 또한 그렇게 인정받고 있는 것만은 틀림없는 것 같다. |
Haydn Piano Sonata No.6 in C major, Hob.XVI:10 Piano: Rudolf Buchbinder |
1. Moderato, |
2. Menuet, |
3. Finale. Presto |
'음악의 산책 > Baroq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현악] 베토벤 / 현악4중주 제13번 (0) | 2022.08.11 |
---|---|
[가곡] Love’s Old Sweet Song (그리운 옛사랑의 노래) (0) | 2022.08.10 |
[뉴에이지] Silk Road - Origen (0) | 2022.08.09 |
[교향곡] 슈베르트 교향곡 제6번 (0) | 2022.08.09 |
[연주곡] Penelope(에게해의 진주) - Paul Mauriat (0) | 2022.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