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차르트 / 피아노 협주곡 제9번
Mozart Piano Concerto No.9 in Eflat Major K.271 "Jeunehomme"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제9번 Wolfgang Amadeus Mozart,(1756-1791) |
1. Allegro, 2. Andantino, 3. Rondo (Presto) Els Biesemans Piano Capriccio Barockorchester |
모차르트가 남긴 27곡의 피아노 협주곡 중 9번 Eb장조 K.271은 놀라운 작품이다. 잘츠부르크 대주교 밑에 있을 때인 1777년 1월 작곡했는데, 그때는 모차르트의 나이는 21살의 성년이 되는 나이이다. 이 작품은 봉건 시대 작품이라고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자유분방하다. 규모도 이전 작품들의 두배에 육박한다. |
1777년 1월에 모차르트는 법적으로 성년이 되었다. 그리고 동시에 음악적으로도 성년을 선언하게 된다. 그 즈음 작곡된 [피아노 협주곡 제9번 E♭장조]는 규모도 크고 내용도 이전에 비해 한결 성숙하다. 무엇보다 이 작품은 진정한 의미에서 비르투오소를 위한 협주곡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성격은 작품의 별명에도 드러나 있다. 이 곡에 붙은 ‘죄놈’이라는 별명은 한 여류 피아니스트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마드무아젤 죄놈(Mlle. Jeunehomme)’은 프랑스 출신으로 1776년 말에서 1777년 초에 걸친 겨울 동안 잘츠부르크를 방문했으며, 모차르트는 그녀의 연주를 듣고 영감을 얻어 이 협주곡을 작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록 그녀에 관한 정보는 부족하지만, 이 곡으로 미루어 볼 때 그녀의 피아노 연주솜씨는 대단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잘츠부르크의 궁정음악가였던 요한 샤흐트너의 증언에 따르면, 모차르트와 피아노 협주곡의 첫 인연은 놀랍게도 그의 나이 네 살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어느 날 샤흐트너가 모차르트의 아버지인 레오폴트와 함께 그의 집을 방문했는데, 꼬마 볼프강이 책상에 앉아서 열심히 펜을 놀리고 있더란다. 레오폴트가 무얼 하고 있는지 묻자 볼프강은 맹랑하게도 ‘클라비어(독일어로 건반악기의 총칭)를 위한 협주곡을 쓰고 있어요.’라고 대답하는 게 아닌가! 레오폴트와 샤흐트너는 그 말을 듣고 웃음을 터트렸지만, 여기저기 잉크로 얼룩진 악보에 쓰인 음표들을 찬찬히 살펴보고 나서는 그것이 진짜 ‘협주곡’이라는 사실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이 일화에 등장하는 협주곡은 전해지지 않는다. 아마도 이제 겨우 작곡에 걸음마를 시작하던 무렵의 볼프강이 고도의 작곡기법이 필요한 ‘협주곡’을 완성시키지는 못했던 것이리라. 실제로 모차르트가 피아노 협주곡을 작곡하기 위해서는 그 후로도 상당한 시간이 필요했다 그가 피아노 협주곡을 처음 세상에 내놓은 것은 열한 살 때의 일이다. 하지만 당시에 작곡된 네 편의 협주곡은 다른 작곡가들의 소나타 악장들을 편곡하여 재구성한 것에 지나지 않았다. 다시 말해서 모차르트는 피아노 협주곡 장르에 관한 한 ‘노출된 학습기’를 거치면서 사뭇 신중하게 접근했던 셈이다. 그가 열다섯 살 때 작곡한 세 편의 피아노 협주곡(K.107)도 마찬가지 경우인데, 번호가 붙지 않은 그 세 곡 역시 J. C. 바흐(J. S. 바흐의 막내아들)의 소나타들을 편곡한 것이었다. 모차르트가 온전히 자신의 힘만으로 완성한 피아노 협주곡을 처음 선보인 것은 열일곱 살 때였다. 1773년 12월에 완성된 [피아노 협주곡 제5번 D장조](K.175)가 바로 그것이다. 이 첫 오리지널 협주곡은 매우 흥미로운 작품이다. 그 정교한 양식과 대위법적인 피날레는 당대 최고의 작곡가들을 무색케 할 정도이며, 제1악장과 제3악장의 관현악 파트에 트럼펫과 팀파니가 포함된 부분은 피아노 협주곡 장르에 진정한 첫걸음을 내딛는 모차르트의 당찬 포부와 패기를 나타내는 듯하다. 다만 기법적인 면에서 새로운 점은 없고, 악상에서도 아직은 십대소년의 풋풋한 내음이 묻어난다. 이후 1776년에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떨어지는 피아노 협주곡 세 편(제6, 7, 8번)이 나온 다음, 마침내 모차르트 최초의 ‘걸작 협주곡’이 등장한다 |
Mozart Piano Concerto No.9 in Eflat Major K.271 Rudolf Serkin Piano London Symphony Orchestra · Claudio Abbado |
1. Allegro, |
이 [죄놈 협주곡]은 피아노 협주곡 역사상 가장 중요한 작품의 하나이다.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제1악장의 개시부인데, 첫 마디에서 오케스트라가 화음으로 된 팡파르를 울리자마자 곧바로 독주 피아노가 등장하여 오프닝 프레이즈를 완성하는 것이다. 마치 피아노와 오케스트라가 부드러운 힘겨루기를 하는 듯한 이 개시부는 기존 협주곡의 관례를 깬 것이다. 고전적인 협주곡에서는 오케스트라만에 의한 긴 도입부(제시부)가 나온 후에야 비로소 독주악기가 등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차르트가 여기에서 보여준 독창성은 가히 경이적이라 할 만하며, 이러한 모험적 시도는 훗날 베토과 그 후예들에 의하여 발전적으로 계승된다. |
2. Andantino, |
아울러 이 작품은 정서적인 깊이라는 면에서도 돋보인다. 자못 심오한 표정의 아리오소 선율과 레치타티보 풍 패시지로 채워진 느린 악장에서 모차르트는 인간 내면의 깊숙한 곳으로 파고든다. 그 과정에서 부각되는 오페라적인 표현과 구성, 음색의 정교한 조탁은 그의 전성기의 협주곡들을 예견케 한다. |
3. Rondo (Presto) |
그런가 하면 마지막 론도 악장에서는 활기찬 흐름 위에 현란한 기교를 실어 비르투오소적 협주곡의 전형을 보여준다. 다만 그 중심부에 놓인 '미뉴에트 에피소드'는 템포, 박자, 분위기, 짜임새 등 모든 면에서 전후의 부분과 선명한 대비를 이루는데, 이 또한 모차르트답게 흥미롭고 독창적인 장면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
'음악의 산책 > Baroq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에이지] Tears Of Spring - Linda Gentille (0) | 2024.05.01 |
---|---|
[관현악] 구스타프 홀스트 / '행성' 제2곡 금성 (0) | 2024.04.30 |
[교향곡] 하이든 교향곡 제58번 (0) | 2024.04.27 |
[관현악] 구스타프 홀스트 / '행성' 제1곡 화성 (0) | 2024.04.26 |
[연주곡] Dio come ti amo(사랑은 끝없이) - Franck Pourcel (0) | 2024.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