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산책/Baroque

[교향곡] 하이든 교향곡 제73번

jubila 2024. 6. 20. 21:15

하이든 교향곡 제73번




Haydn,Symphony No. 73 in D Major Hob I:73
"La Chasse”

하이든 교향곡 제73번 라장조 "사냥"

Franz Joseph Haydn, (1732~1809)

 

1. Adagio - Allegro,    2. Andante,    3. Menuetto: Allegretto,    4. La chasse: Presto

The Academy of Ancient Music,
Conducted by Christopher Hogwood.










〈교향곡 73번 ‘사냥’〉은 하이든의 고전 소나타 형식이 완성될 무렵인 1781년에 완성된 작품이라는 점에서 하이든의 작곡 생애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전체 4악장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호른을 사용한 사냥 주제가 등장하는 4악장 ‘사냥’이 유명하다. 



사냥 모티브를 사용한 피날레

1781년 하이든은 빈의 알타리아 출판사를 통해 여섯 곡의 현악 4중주를 발표했는데, 이 작품은 〈새〉, 〈농담〉 등이 수록된 유명한 ‘러시아 4중주’이다. 이 작품을 통해 하이든은 에스테르하지 가문 외부에도 이름이 알려지는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을 뿐 아니라 고전 소나타 형식을 바탕으로 한 세련되고 원숙한 작품을 본격적으로 선보이기 시작했다는 점에서도 의미 있는 시기였다. 이 시기에 완성된 〈교향곡 73번〉은 하이든의 숙련된 음악 기법과 다채로운 음악적 아이디어가 포함된 곡으로 대중적으로 널리 연주되는 곡이다.
전체 악곡을 대표하는 ‘사냥’이라는 부제는 마지막 4악장에서 온 것으로, 이 악장은 두 대의 호른이 연주하는 사냥 선율을 주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샤스(chasse)’라 부르는 사냥 음악은 사냥터의 흥겨움과 긴장감을 고조시키기 위해 르네상스 시대 이전부터 자주 연주되어 오던 음악의 전통이다. 이 피날레 악장은 원래 하이든이 1781년 2월에 초연한 자신의 오페라 〈보상된 지성〉(La fedelta premiata)의 서곡으로 작곡한 것으로, 세부적인 부분을 다듬은 후에 교향곡에 사용하였다. 한편 하이든의 작품번호를 정리한 음악학자 호보켄은 피날레에 등장하는 사냥의 주제선율은 1780년 파리에서 출판된 사냥 선율곡집에 실려 있는 선율을 인용한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호른과 관악기 음색 강조
하이든의 〈교향곡 73번〉은 플루트, 두 대의 오보에, 두 대의 바순, 두 대의 호른과 트럼펫 팀파니와 현악기를 위한 편성으로 작곡됐으며, ‘아다지오-알레그로, 안단테, 미뉴에트: 알레그레토, 알레그로’의 네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느린 서주로 시작해 빠르고 경쾌한 주제 선율이 등장하는 교향곡의 1악장 구조는 하이든이 자주 사용하던 방식이다. 느린 2악장은 하이든이 1784년 출판한 《12개의 가곡집》에 수록된 〈사랑의 보답〉(Gegenliebe)의 선율을 테마로 해서 완성했다. 3악장에서는 플루트와 오보에, 바순 등을 중심으로 한 목관 앙상블의 화음이 두드러지며 4악장 피날레에서는 두 대의 호른을 사용한 사냥의 주제 선율이 경쾌하게 펼쳐진다. 주로 사냥터에서 사용된 야외 악기로 사랑받았던 호른은 하이든이 디베르티멘토 같은 유희용 음악에 자주 사용했으며, 교향곡 가운데서는 이 곡 외에 ‘사냥호른’이라는 부제가 붙은 〈교향곡 31번〉에서 호른의 모티브가 중요하게 등장한다.




Haydn  Symphony No. 73 in D Major, Hob.I:73, "La chasse"
Conductor: Béla Drahos
Orchestra: Nicolaus Esterházy Sinfonia

 

1. Adagio - Allegro,

 

 2. Andante, 

 

3. Menuetto: Allegretto,

 

4. La chasse: Pre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