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산책/Baroque 4748

[피아노] 프로코피에프 - 피아노 소나타 제7번

프로코피에프 - 피아노 소나타 제7번 Prokofjew, Piano Sonata No.7 in B♭ major, Op.83 프로코피에프 - 피아노 소나타 제7번 Sergei Prokofiev (1891-1953) 1. Allegro inquieto, 2. Andante caloroso, 3. Precipitato Piano / 김준(Kim Joon) 현대 피아노 음악의 최고 걸작으로 꼽히는 이 작품은 1939년~1942년에 제작돤 작품으로 고전주의의 형식과 무궁동 풍의 선율이 대비가 되며 불안감, 강인함 등 전쟁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피아노 선율로 폭로하는 전쟁의 감정 프로코피예프의 1942년 완성작 〈피아노 소나타 7번〉은 일명 ‘전쟁 소나타’로 불리는 세 개의 피아노 소나타 중 두 번째 작품..

[뉴에이지] Meditation from Thais Massenet (타이스의 명상곡) - Stjepan Hauser

Meditation from Thais Massenet (타이스의 명상곡) - Stjepan Hauser Meditation from Thais Massenet (타이스의 명상곡) Stjepan Hauser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마스네 : 타이스의 명상곡 Mediatation From 'Thais' (Meditation de Thais) 쥘 마스네 (Jules Emile Frédéric Massenet 1842~1912) 프랑스 마스네가 작곡한 오페라 《타이스 Thaïs》의 제2막 1장과 2장 사이에 연주되는 간주곡이다. 아름답고 서정적인 선율 때문에 마치 한 편의 독자적인 클래식 소품처럼 많이 연주되고 있는 인기 레퍼토리다. 시대 설정은 단순히 고대 이집트로 되어 있으나 타이스를 기독..

[교향곡] 모짜르트 - 교향곡 제36번

모짜르트 - 교향곡 제36번 Mozart, Symphony No.36 in C major, K.425, "Linz" 모차르트 교향곡 제36번 C장조, "린츠" K.425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1.Adagio - Allegro spiritoso, 2.Poco adagio, 3.Menuetto, 4.Presto London Symphony Orchestra Sir John Barbirolli, conductor 교향곡 제36번 잘츠부르크를 여행하고 빈으로 돌아오는 길에 모차르트 부부가 들렀던 ‘린츠’라는 도시의 이름을 따서 부제를 붙인 교향곡으로, 4악장 구성이며, 1783년 10월~11월에 제작 되었다. 잘츠부르크 여행에서 ..

[연주곡] Adieu Jolie Candy / Franck Pourcel

Adieu Jolie Candy / Franck Pourcel Adieu Jolie Candy Franck Pourcel 프랑스 출신의 Frank Pourcel 의 1968년도 작품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이종환의 밤의 디스크 쇼'의 시그날 배경음악으로 널리 사랑 받았던 아름다운 곡이다. 장 프랑수아 미카엘의 노래가 먼저 나왔으나 프랑크 푸르셀의 연주곡이 이종환의 밤의 디스크쇼 시그널음악으로 쓰이면서 우리에게 더욱 친숙하게 알려진 곡이기도 하다.

[관현악] 베토벤 - 현악 사중주 제8번

베토벤 - 현악 사중주 제8번 Op 59, No.2 Beethoven String Quartet No.8, Op 59, No.2 in E minor "Razumovsky" 베토벤 / 현악사중주 제8번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1. Allegro, 2. ​Molto adagio, 3. Allegretto, 4. ​Finale presto Alban Berg Quartett 현악 사중주 8번 마단조, 작품 번호 59-2는 베토벤에 의해 쓰인 세 개의 현악 사중주 "라주몹스키" 세트 중 두 번째 작품이다. 때로 라주몹스키 2번이라고도 칭한다. 현악사중주 제8번(라주모프스키 제2번)은 전작인 제7번과는 다르다. 제7번이 규모나 스케일에서 외형적이라면, 제8번은 매우 내면적으로 ..

[동요] 산바람 강바람

산바람 강바람 산바람 강바람 윤석중(尹石重) 작사, 박태현(朴泰鉉) 작곡, 조용필, 외. 산위에서 부는바람 서늘한바람 그바람은 좋은바람 고마운바람 여름에 나무꾼이 나무를할때 이마에 흐른땀을 씻어준대요 산위에서 부는바람 시원한바람 그바람은 좋은바람 고마운바람 사공이 배를젓다 잠이들어도 스으스로 나뭇배를 밀어준대요 첼로 주자인 박태현이 동요 작곡에 열중하고 있던 1936년에 발표한 곡이다. 노래의 형태는 4분의 3박자 16마디로 되어 있으며, 2절의 가사를 가지고 있는데, 서정적이고 유연성 있는 흐름이 돋보이는 곡이다.

[피아노] 하이든 - 피아노 소나타 제1번

하이든 - 피아노 소나타 제1번 Haydn Piano Sonata No.1 in G major, Hob.XVI:8 하이든 피아노 소나타 제 1 번 사장조, Haydn Franz Joseph, (1732∼1809) 1. Allegro, 2. Menuet, 3. Andante, 4. Finale, Allegro Won-Sook Hur Piano 교향곡의 아버지라고 부르는 하이든(Franz Joseph Haydn, 1732∼1809)은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18세기 후반의 빈고전파를 대표하는 음악가이다. 오늘 소개드리는 연주곡이 피아노 소나타라고 소개했지만 원래 하이든(Haydn)이 작곡했을 때의 이 곡 이름은 조금 달랐다. 이곡은 '피아노 소나타(Piano Sonata)'가 아니라 '클라비어 소나타(Klavi..

[뉴에이지] La Petite Fille de La Mer (바닷가의 작은 소녀) - Vangelis

La Petite Fille de La Mer (바닷가의 작은 소녀) - Vangelis La Petite Fille de La Mer (바닷가의 작은 소녀) Vangelis '호머'의 절대적 삶의 내재성에서 '플라톤'의 초월성에 이르기까지 그리스인들의 미학적 목적은 형식의 강제가 아니라 내부에 잠자고 있는 형상화 되어야 할 모든 영혼들을 표면으로 의식화 시키는 작업이었다. 그런 철학적 미학들은 수세기 세월 동안 전통을 통해 현재의 그리스 문화에 면면이 이어져오고 있다. 그리고 지금 현대 그리스의 대중문화의 최고 거장으로 일컫어지는 '반젤리스(Vangelis)'와 그의 뒤를 잇는 신성(新星) '바실리스 살레아스'(Vassilis Saleas)에게 이어져 정신적 고향을 갈망하는 우리에게 새로운 '비젼'을 ..

[교향곡] 슈베르트 교향곡 제1번

슈베르트 교향곡 제1번 Schubert Symphonie No. 1 in D major, D 82 슈베르트 교향곡 제1번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1. Adagio - Allegro vivace, 2. Andante, 3. Menuetto: Allegro, 4. Allegro vivace Academy of the Berliner Philharmoniker Karajan 슈베르트는 이 작품을 빈에서 1813년 10월 28일에 완성했고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 출판사에서 출판했다. 슈베르트는 1808년~1813년 가을까지 빈의 국립신학교에 재학 중에 착수했다.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의 영향과 함께 독창적인 경향이 혼재하며 아마추어 오케스트라(빈의 국립신학교 오케스트라)..

[연주곡] Romance / Dmitri Shostakovich

Romance / Dmitri Shostakovich Romance Dmitri Shostakovich 작곡 이곡은 쇼스타코비치가 원래 'The Gadfly (등에: 소, 말등의 가축에 붙어 괴롭히는 곤충)라는 영화의 배경 음악으로 작곡된 곡이다, 이 영화의 제목은 합스부르크 통치 하에 있던 이탈리아에서의 한 혁명가를 비유한 것이었는데, 쇼스타코비치에게는 소비에트 체제에 그칠 줄 모르고 반항하던 자신의 처지를 빗댄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그가 좋아했을지는 모르지만 영국에서는 한 때, 템즈 텔레비젼 시리즈 " Reilly , Ace of Spies" 에 이 로망스 멜로디가 쓰여 인기를 끌기도 했다고 한다. 어떤 영화 어떤 장면에 사용되었든지 음악 자체가 대단히 로맨틱하기 때문에 항상 대중적 인기를 몰고 다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