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산책/Baroque

[무곡] 쇼팽 / 폴로네이즈

jubila 2023. 11. 9. 04:19

쇼팽 / 폴로네이즈




Chopin, Polonaise,
Op.22, Op.26-1,2, Op.40-1,2, Op.44, Op.53, Op.61

쇼팽 / 폴로네이즈

Frdric Franois Chopin 1810∼1849
Artist: Folke Nauta (piano)

00:00  Polonaises: Andante spianato et Grande Polonaise brillante Op.22 in E flat
14:15  Polonaises: Polonaise Op.26 No.1 in C sharp Minor

22:45  Polonaises: Polonaise Op.26 No.2 in E flat Minor
31:57  Polonaises: Polonaise Op.40 No.1 in A ‘Military’
37:31  Polonaises: Polonaise Op.40 No.2 in C Minor
46:01  Polonaises: Polonaise Op.44 in F sharp Minor
56:55  Polonaises: Polonaise Op.53 in A flat ‘Heroic’
03:55  Polonaises: Polonaise-Fantaisie Op.61 in A flat











쇼팽의 폴로네이즈는 7세인  1817년 부터 36세인 1846년까지 거의 쇼팽의 평생에 거쳐 작곡된 곡이다.



폴로네이즈 (Polonaise)
polonaise(프) polacca(이)


기품있고 차분한 폴란드 궁정의 행사용 춤곡으로, 보통빠르기의 3박자이고 장대하고 축제적인 분위기를 지닌다. 폴로네이즈의 특징은 여성마침과 짧고 명확한 동기의 반복, 자주 나타나는 셋잇단음표 등이다. 16세가 후반부터 있어왔다는 기록이 있으나 특별한 공통점들을 찾기 어렵고, 바로크 시대에 고전모음곡에 포함되는 예가 있어서 오히려 바하 헨델의 작품에서 그 초기 예를 살펴볼 수 있다. 18세기 중반에 널리 펴졌으며, 베토벤, 슈베르트, 베버, 리스트 등에 의해 작곡되었다.
폴로네이즈는 폴란드의 대표적인 민속 춤곡의 하나인데 그 기원은 확실치 않다. 기록으로는 1573년에 프랑스의 앙리 3세가 폴란드 왕 헨리크로 즉위했을 때 대관식에서 폴로네이즈를 추었다는 문서가 남아있다. 그러나 그 원래의 형태는 훨씬 오래 전부터 농민들 사이에서 의식이나 노동 때 쓰인 몇 종류의 춤곡에 기원을 두고 있다고 생각되며, 그것이 차츰 성격을 조금씩 바꾸면서 상류 계층으로 침투했다고 여겨진다.
17세기에 들어와 귀족들 사이에서 유행되면서 3박자의 중간 속도로 행렬을 이루고 걸어가듯이 춤추는 음악으로 발달했으며, 특히 궁정에서는 당당한 리듬이 특징적인 기악용 폴로네이즈로 발전했다. 이렇게 정형화된 폴로네이즈는 국외로도 퍼졌는데, 특히 바로크시대부터 19세기 초에 걸쳐 서구 여러 나라의 많은 작곡가들이 폴로네이즈를 작곡했다는 것은 쿠프랭, 텔레만, 바흐, 베버 등의 예를 보면 확실히 알 수 있다.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에 걸쳐 폴란드의 작곡가들은 기악 폴로네이즈 작품을 즐겨 작곡했다. 강대국에 의한 영토 분할이라는 조국의 위기에 직면한 그들에게 있어 폴로네이즈란 서구 작곡가의 경우와는 전혀 다른 특별한 의미를 가진 악곡이었다. 오늘날 남아있는 작품 중 쇼팽의 첫번째 작품이라고까지 알려져있는 폴로네즈(KKIIa-1)도 사실은, 이 장르가 그에게 가까이 있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 작품에서는 아직 춤곡의 특징이 확실하게 나타나 있지만, 9곡이 남아있는 바르샤바 시절 초기의 폴로네이즈(모두 유작으로 나왔음) 의 시도를 통해서 쇼팽은 춤곡적 폴로네이즈에서 점점 자신의 독자적인 양식에 의한 폴로네이즈를 추구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보면 그가 곡의 규모를 점점 확대하고, 주제와 악상을 다양화하고, 특히 리듬면에서 기본적인 폴로네이즈의 리듬형을 응용하면서 더욱 자유롭고 다양한 리듬의 변화를 받아들여 갔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방향에 앞서 쇼팽이 추구했던 것은 민족 정신을 진정하게 표현하는 예술 음악으로서의 폴로네이즈였다. 요컨대 쇼팽은 춤곡 본래의 근원인 민족 정신 그 자체에 눈을 돌려 그것을 표현하려고 했던 것이다.
그가 스스로 출판한 첫번째 폴로네이즈는 이미 폴로네이즈로서는 10번째 작품에 해당하는 작품 26의 두 곡으로 파리 시대에 들어간 후의 작품인데, 이 작품들은 춤곡의 성격을 완전히 초월한 당당한 작풍속에 쇼팽의 민족적 주장을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그 후로도 마지막 작품인 환상 폴로네이즈에 이르기까지 한작품 한작품마다 한층 규모가 크고 새로운 폴로네이즈가 추구되었다.
그에게 있어서 폴로네이즈는 마주르카와 함께 자신의 민족 정신을 온전히 표현할 수 있는 장르였는데, 마주르카가 쇼팽의 일상적인 내면 세계를 표현한 듯한 악곡인 데 비해 폴로네이즈는 민족적 주장을 정면에서 표현한 구성적 악곡이라고 말할 수 있다. 바르샤바 시절 초기의 폴로네이즈에서 후기의 환상 폴로네이즈에 이르는 작풍의 놀라운 발전과 음악적 심화는, 그러한 민족 정신의 강한 표현으로서의 폴로네이즈를 쇼팽이 추구한 데서 나온 것이다.

곡의 특징
1. Polonaise in C-sharp minor, Op. 26, No. 1:
- 이 폴로네즈는 고귀하고 강력한 오프닝 테마와 보다 섬세한 중간 섹션과의 대비가 특징입니다.
- 이 작품은 폴로네세의 정통한 성격을 모두 나타내고 있는 댄스와 쇼팽의 서정적인 스타일.
 
2. Polonaise in E-flat minor, Op. 26, No. 2:
- 이전의 폴로네세와는 대조적으로, 이것은 보다 내성적이고 음울하며 멜란코릭한 멜로디를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 중간 섹션은 첫 번째 우울으로부터의 휴식을 제공하고 대조적인 감정적 풍경을 제공합니다.
 
3. Polonaise in A major, Op. 40, No. 1 ("Military Polonaise"):
- 무용전의 성격 때문에 '밀리터리 폴로네즈'라는 이름이 붙은 이 작품은 웅장함과 결의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 리드미컬한 강렬함과 생생한 멜로디가 그 독특한 특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4. Polonaise in C minor, Op. 40, No. 2:
- 이 폴로네제는 에 가득 차 있습니다. 복잡한 감정을 전달하는 쇼팽의 능력을 보여주는 감정적 깊이와 표현적 멜로디.
- 이 작품은 드라마의 순간과 반성의 순간을 결합하여 폭넓은 감정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5. Polonaise in F-sharp minor, Op. 44:
- 이 폴로네즈는 가상의 한 구절과 불타는 듯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생한 달리기와 열정이 특징입니다.
- 이 작품은 극적인 강도의 순간과 보다 서정적인 섹션을 번갈아 만들어 역동적인 구조를 만들어 냅니다.
 
6. Polonaise in A-flat major, Op. 53 ("Heroic Polonaise"):
- 쇼팽의 가장 유명하고 상징적인 작품 중 하나인 이 폴로네즈는 위엄 있고 이겨낸 성격을 특징으로 합니다.
- 힘찬 화음과 압도적인 멜로디로 용맹함과 고귀함을 느끼게 하는 작품입니다.
 
7. Polonaise in C minor, Op. 40, No. 1 ("Tragic Polonaise"):
- 이 폴로네즈는 우울하고 가슴 아픈 분위기 때문에 종종 비극적 폴로네즈라고 불립니다.
- 이 작품은 표현력 있는 멜로디와 가슴 아픈 하모니가 특징으로 내성감을 불러일으킵니다.
 
8. Polonaise in A-flat major, Op. 61:
- 이 폴로네즈는 우아한 멜로디와 세련된 감각으로 보다 고급스럽고 우아한 캐릭터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 쇼팽의 섬세한 아름다움을 연출하는 능력을 보여주며 서정성과 매력이 느껴지는 작품입니다.
 
9. Polonaise-Fantasy in A-flat major, Op. 61:
- 이 독특한 폴로네즈는 자유언어 구조와 풍부한 조화언어가 특징입니다.
- 그것은 판타지 요소와 전통적인 폴로네즈 모양을 결합하여 결과적으로 내성적인 깊이를 만들어냅니다.

Polonaise No.3 in A major, Op.40-1 'Military'
이 곡은 1838년에 작곡, 40년에 출판되었다. 쇼팽이 폴란드에 대한 애국의 열정에 의한 격정으로 맑게 울리는 나팔소리와 큰북소리가 화려한 군대의 행진을 상상케 한다. 파리에서 먼 고국을 생각하는 쇼팽이 가슴에 그린 폴란드 군대의 위용이다.
폴란드에는 폴로네즈와 마주르카라는 대표적인 무곡이 있다. 폴로네즈란 16세기 후반 프랑스의 헨리 3세가 폴란드의 왕위에 즉위한 후 귀족들이 왕 앞에서 규칙적인 음악에 맞추어 행진하는 행사를 가지면서 비로소 형태를 갖추게 된 음악이고 마주르카는 농민의 생활 속에서 태어난 무곡으로 폴로네즈보다 훨씬 간소한 성격의 것으로 흙냄새가 나는 것이 많다.
1838년에 작곡된 은 드높은 나팔 소리, 북소리를 연상케하는 화려함으로 인해 로 알려져 있다. 쇼팽의 조국에 대한 애국심에서 작곡했다는 이야기에 맞게 쇼팽의 애국심에 대한 일화 중에서 그가 어느 날 친구인 티투스와 함께 조국으로 돌아가 싸울 것인지에 대해 심각하게 상의를 했고, 이에 티투스가 괴로워하는 쇼팽에게 “조국을 위해 너는 무력이 아닌 예술이라는 수단으로 싸워라.” 라고 권유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Polonaise No. 6 in Ab major, Op.53 'Heroic'
쇼팽이 마요르카 섬에서 돌아온 1840년의 작품. 아우구스트 레오의 의뢰로 작곡했으며, 곡은 의뢰자에게 바쳤다. 폴란드의 화려한 시대를 상기시키며, 규모는 웅대하고 표현은 완벽하다.
<영웅폴로네이즈> 폴로네이즈라 불리는 이 곡에 대해서 크레첸스키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이것은 쇼팽의 작품 중엣 한 정점을 이루는 것으로 가장 장대하고 완벽한 양식을 발휘하고 있다. 이 우아한 작품으로 먼저 우리들을 감동시키는 것은 광대한 구상과 높은 상념과 굉장한 효과적 영감이다. 과거의 빛남을 찬미하는 작품으로 알려져 있음과 같이 쇼팽으로 하여금 환각에 빠지게 하여 노앙의 저택의 쓸쓸함으로부터 그를 도망가게 하였다. 거기에서 그는 울려퍼지는 갑옷으로 차려 입은 그의 조상의 발소리를 듣고 당당한 열을 지어 그에게로 진군해 오는 그들의 모습을 보았다고 그는 생각했던 것이다...생략'. 곡의 구성은 세도막 형식이다.
쇼팽이 쓴 6번째 폴로네즈인 이 곡은 “쇼팽의 폴로네즈를 들으면 운명이 가져다주는 온갖 부정한 것에 용감하고 대담하게 대항하는 확고한 발자국 소리를 듣는 것 같다.”라던 리스트의 칭찬이 꼭 들어맞는 곡이다. 일설에 의하면 쇼팽이 막 완성한 이곡을 치고 있을 때 그는 갑자기 눈 앞에 투구를 쓰고 전투복을 입은 고대 폴란드 전사들의 행렬이 전진해오는 환각에 빠져 공포에 질린 나머지 방에서 뛰어나갔다고 한다.

이곡은 "영웅 폴로네이즈"로 알려져있다. 카라소프스키는 쇼팽의 폴로네이즈를 둘로 나누어, 하나는 강하고 남성다운 리듬을 지닌 것, 다른 하나는 러시아 제국의 압제하에 있던 폴란드를 그린 , 우울에 가득찬 것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 영웅"은 전자를 대표하는 최고의 걸작이다. 같은 부류의 군대 폴로네이즈와 비교해보면 영웅 쪽이 훨씬 리듬감있고 여러가지 화성적 아이디어와 악상으로 가득 차있다. 더구나 그것이 확대된 견고한 구성을 갖추었다는 점에서 쇼팽 후기의 원숙한 서법을 엿볼 수 있다. 주부 주제와 화려하고 힘찬 중간부에 나타나는, 왼손에 의한 옥타브의 오스티나토 등 비르투오소적인 연주 효과에 있어서도 뛰어난 작품이다.




Chopin, Polonaise,
Op.22, Op.26-1,2, Op.40-1,2, Op.44, Op.53, Op.61



 

Andante spianato et Grande Polonaise brillante Op.22 in E flat
Arthur Rubinstein 

 

 

 

Polonaise Op.26 No.1 in C sharp Minor
Mayaka Nakagawa

 

 

 

Polonaise Op.26 No.2 in E flat Minor
Łukasz Krupiński  

 

 

 

Polonaise Op.40 No.1 in A ‘Military’
Anastasia Huppmann

 

 

 

Polonaise Op.40 No.2 in C Minor
Valentina Lisitsa

 

 

 

Polonaise Op.44 in F sharp Minor
Charles Richard-Hamelin 

 

 

 

Polonaise Op.53 in A flat ‘Heroic’
Seong-Jin Cho

 

 

 

Polonaise-Fantaisie Op.61 in A flat
Daniil Trifono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