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산책/Baroque

[관현악] 베토벤 - 현악 사중주 제8번

jubila 2024. 1. 19. 00:18

베토벤 - 현악 사중주 제8번 Op 59, No.2




Beethoven String Quartet No.8, Op 59, No.2 in E minor
"Razumovsky"

베토벤 / 현악사중주 제8번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1. Allegro,  2. ​Molto adagio,   3. Allegretto,   4. ​Finale presto

Alban Berg Quartett











현악 사중주 8번
 마단조, 작품 번호 59-2는 베토벤에 의해 쓰인 세 개의 현악 사중주 "라주몹스키" 세트 중 두 번째 작품이다. 때로 라주몹스키 2번이라고도 칭한다.


현악사중주 제8번(라주모프스키 제2번)은 전작인 제7번과는 다르다. 제7번이 규모나 스케일에서 외형적이라면, 제8번은 매우 내면적으로 만들어진 곡이다. 악장 구성도 2악장 아다지오가 중심을 이루고, 3악장에 스케르초를, 4악장은 론도 소나타 형식으로 매우 고전적인 형태로 배치되었다. 그러나 특징적인 것은 이 곡의 중심이 2악장에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운명 교향곡의 이른바, ‘운명의 동기’가 여러 번 사용되어 마치 운명의 동기가 이 악장을 지배하는 느낌을 가지고 있는 점이다.

베토벤은 처음에는 그리 유명하지는 않았지만, 점차 음악적 재질을 인정받은 베토벤은 본 시대 동안 친구이자 재정적인 후원자였던 발트슈타인의 도움으로 1792년에 빈으로 진출하여 하이든으로부터 사사받았다. 귀족들의 후원을 본격적으로 받게 된 것도 이 무렵의 일로서 리히놉스키, 롭코비츠 등 숱한 귀족들로부터 후원을 받았다.
라주몹스키 백작은 대단한 음악 애호가로, 자신의 현악 사중주단을 거느리고 있었을 뿐더러, 그 자신이 제2바이올린 주자로 활약했다. 빈 주재 러시아 대사였던 라주몹스키 백작은 자신의 악단이 연주할 현악 사중주 작품을 의뢰했고, 이에 베토벤은 그의 현악 사중주에서 7번에서 9번까지 해당되는, 러시아적 정서의 세 개의 사중주, 라주몹스키 세트를 작곡했다. 이 세트의 세 개의 작품은 모두 긴 작품이며, 연주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이러한 사실은 이것들이 빈의 많은 아마추어 앙상블을 염두에 두고 간단한 양식으로 쓰인 베토벤의 초기 실내악으로부터 급격히 이탈하는 것을 나타내는데, 파트의 복잡한 레이어링과 주제의 야심찬 개발로 더욱 풍부하고 다양해 지지만, 연주자들에게는 기술적인 요구 사항이 많이 부과되며, 러시아 컨트리 댄스의 활기에 대한 지적인 푸가 주제의 균형과 같은 급진적인 양식의 병치와 종종 일치하는 요동치는 감정 변화가 있다. 사중주단의 반응은 대체로 부정적이었다. 베토벤의 실내악을 많이 연주한 바이올리니스트 이그나츠 슈판치히는 자신들이 너무 이례적이고 도전적이라고 주장했고, 이를 연주할 수 있는 바이올리니스트는 거의 없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것들이 모두 1806년 4월부터 6개월 동안 작곡되었다는 것은 베토벤이 소유한 속도와 숙달을 드러낸다. 이 세트의 모든 작품은 1807년 2월에 처음 공연되었다. 베토벤 연구가인 폰 렌츠는 이 라주몹스키 세트를 “하늘에서 내려온 세 개의 기적”이란 말로 표현했다. 이 세트는 1808년 1월에 빈의 음악과 산업 상점 사를 통해 출판되었다. 헌정은 역시 라주몹스키 백작에게 이루어졌다.
라주몹스키 세트의 세 개의 작품 중에서, 8번 사중주는 유일한 단조이며, 다른 두 개의 악곡에 비해 내성적인 면이 짙다. 이것은 라주몹스키 백작 부인의 죽음이라는 아픈 심정에 동정한 결과인 것으로 여겨진다. 라주몹스키 세트의 첫번째 악곡은 개인적인 심경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어서 전원적이고 이상적 동경을 강조한 경향이 있으나, 이 두 번째 악곡에서는 보다 가혹한 인간 사회로 눈을 돌려 괴로워하는 사람들의 격심한 고투를 엮어 넣었다. 베토벤은 그에게 임부를 부여한 왕자를 기리기 위해 세트 중 앞에 있는 두 개의 사중주에서 특징적인 러시아 주제를 사용한다.




Beethoven  String Quartet No. 8 in E Minor, Op. 59 No. 2,
"Razumovsky"
Artemis Quartet

 

1. Allegro,
힘찬 두 개의 화음에 이어 제1바이올린이 여리게 제시된다. 이렇게 시작된 제1주제는 이 곡을 지배하는 중심선율이다. 여리게 반복되는 이 동기는 조바꿈되는데, 이러한 기법은 베토벤이 이 시기의 작품에 많이 사용한 특징적인 화성처리 법이다. 이 주제가 펼쳐진 다음 제2주제가 첼로 연주된다. 발전부는 첼로와 제1바이올린으로 제1주제가 전개되면서 다양한 표정으로 이어진다. 재현부는 제1주제의 분위기와는 다르고, 제2주제는 그대로 나타나면서 조용히 마친다.

 

 

2. ​Molto adagio, 
베토벤다운 깊은 감정의 2악장은 이 곡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베토벤은 이 악장에서 “깊은 감정을 가지고”라는 지시어를 남기고 있다. 제1주제는 제1바이올린으로 조용히 시작하면 다른 악기들이 저음으로 이것을 모방한다. 이어 주제를 제2바이올린과 비올라가 옥타브로 되풀이할 때, 제1바이올린은 대선율을 연주한다. 제2주제는 첼로가 시작하는데, 주제가 모든 악기로 되풀이 된다. 이어 그 유명한 ‘운명의 동기’가 셋잇단음의 스타카토로 나타난다. 발전부는 제2바이올린이 제1주제를 시작하는데, 여기서도 ‘운명의 동기’가 나타난다. 재현부에서는 두 개의 주제와 '운명의 동기'가 나타나면서 조용히 악장을 마친다.

 

 

3. Allegretto,
스케르초 형식이다. 이 악장에서는 러시아 민요를 주제로 사용하고 있다. 먼저 제1부의 알레그레토의 주제가 반복 연주되며, 이 주제의 리듬에 의한 중간 악절을 사이에 두고 다시 주제가 여리게 나타난다. 중간 부분에 비올라가 러시아 민요를 연주하기 시작하면, 제2바이올린이 셋잇단음표의 대선율을 연주한다. 이 러시아 민요는 '황제 찬가'인데, 무소르그스키의 오페라 <보리스 고두노프>와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오페라 <황제의 신부>에도 사용된 바 있다. 이 주제가 발전하면 마지막에 긴장감을 높이면서 클라이맥스로 이어지고, 다시 처음의 알레그레토로 돌아가 반복 연주한 후 악장을 마친다.

 

 

4. ​Finale presto
론도 소나타 형식이다. 이제까지 신중하던 악상은 갑자기 밝은 표정으로 바뀐다. 제1주제는 매우 단순한 반주 위에서 제1바이올린이 연주한다. 이 주제는 이후 여러번 되풀이 되고 아주 부드러운 제2주제가 제1바이올린으로 제시된다. 이 아름다운 주제는 첼로와 비올라로 되풀이 되고, 아주 여리지만 경쾌한 경과구를 두고 제1주제가 재현된다. 발전부는 제1주제로 발전되다가 코다로 들어가는데, 마지막에는 빠른 속도로 바뀌어 활기차게 전곡을 마무리 한다.